반응형

부동산 호시절은 끝난 상황입니다

물론 현금 부자들은 싼 값에 담아갈수 있는 기회의 시기일 수 있습니다

 

여러 카페나 블로그에서 전망한 글들을 보면 

너무 자기 기준에서 편향된 전망을 하지 않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 하는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부동산은 정부 정책 영향을 받는다.
-> 뉴스를 통해 그 방향을 이해 할수 있다


2. 광의통화(M2)  = 신용 창출 결과
->  통화 총량은 고정이나,
금리상승+ 신용창출 감소 = 통화량 감소

금리상승+ 신용창출 증가 = 통화량 증가 => 자산 상승*

3. 주택담보대출
주택가격에 선행
단기 데이터 추세가 아닌 장기 데이터로 판단함


4. 주택매매지수
전반적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상승폭이 커졌느냐 작아졌느냐에 따라 ‘집값 안정’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상승했다면,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
* 한국감정원의 매매가격지수 보다 KB 에서 제공하는 것이 더 신뢰성이 높은듯 하다

5. 전세가격지수
전세가율이 높으면 이후 주택가격이 상승

6. 선행 지표는 전·월세 가격과 인허가 물량
-> 전·월세 가격은 상승폭이 커지면,  이후 수요가 누적되어 매매가격을 밀어올리는 요인

7.  매매/ 전·월세 수급동향 :한국부동산원
-> 공급과 수요 상황을 0~200 사이의 점수로 표현
기준치(100)보다 높으면 사려는 사람이 팔려는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


각 데이터의 결과는 글에서 제외 하였습니다

부동산 전망을 하는데 참고하였으면 합니다.

 

(추가)

기존 데이터 기반, 예측에 변수가 있습니다
지금 까지 없던 인수 감소입니다

그런데, 1인 가구는 증가 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은 아래 뉴스 참고 바랍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4686150&memberNo=45336244 

 

1인가구 증가가 인구감소를 커버할 수 있을까?

[BY KB부동산] 인구 감소에 대한 우려가 다양한 언론 채널을 통해 전달되고 있습니다. 서울을 비롯해 경...

m.post.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