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dbeaver.io/

 

DBeaver Community | Free Universal Database Tool

DBeaver Universal Database Tool DBeaver Community is a free cross-platform database tool for developers, database administrators, analysts, and everyone working with data. It supports all popular SQL databases like MySQL, MariaDB, PostgreSQL, SQLite, Apach

dbeaver.io

DBeaver 에서, 데이터 추출 시 한글 깨짐 현상과 해결 방법 정리합니다.

(현상)

DBeaver 에서 조회 결과를 데이터 추출 후, 

메모장이나, 탐색기 미리보기 에서는 한글이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엑셀에서 열면 아래와 같이 한글 깨짐 현상이 생합니다

 

구글링 하면, 아주 간단하게(?) 문제 해결 방법이 나오긴 하지만

그 원인과 해결방법을 좀더 정리해 봅니다

 

(원인)

데이터 추출시 Encoding 타입을 선택하게 되는데, 대부분 UTF 형식으로 진행 하면서 문제가 시작됩니다

UTF 는 내부적으로 2가지 모드가 존재 합니다

-Big-Endian UTF-16 (BE)

-Little-Endian UTF-16 (LE)

(이 내용은 다른 페이지에서 다루겠습니다)

 

이 것을 구분하기 위해 화일 맨앞에 코드를 추가하게 되는데 
이 것을 "BOM" (Byte Order Mark)이라고 합니다

'Hex Viewer' 등의 tool 로 화일을 열면 BOM 정보 확인 가능합니다

 

문제는

윈도우의 경우, 기본적으로 BOM 포함된 것을 가정하여 인식/처리 되는 것입니다. 엑셀도 마찮가지 입니다

 

그러나 아래 캡쳐처럼, DBeaver 데이터 추출시 "insert BOM" 이 default "N" 입니다

 이 차이 때문에 엑셀에서 BOM 없는 UTF 화일을 열면서 한글 깨짐 현상이 발생합니다

 

(해결)

1. DBeaver 데이터 추출시 "insert BOM" 의 check box 를 체크 합니다

 

2. 이미 추출된 데이터라면, 한글이 정상 조회 되는 메모장에서 다른 이름 저장시,

인코딩 타입에 BOM 을 선택하여 저장 후 사용합니다

 

 

(추가)

"insert BOM" 기능은 DBeaver version 21.0.2 이후 포함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글에서 bard 가 서비스 시작되었습니다

"시험버전" 이란 꼬리표가 달렸지만

구글의 명성(?)과 최근 hot issue 가 되고 있는 AI chat 서비스이기 때문에 기대감이 높았습니다

 

한번 성급한 서비스 발표로 망신이 있었기 때문에 더 그러했습니다

[2023년 02월 11일, 뉴스]

https://www.ytn.co.kr/_ln/0104_202302111111478232

 

"성급했다, 망쳤다"...구글 내부서 '바드' 발표 비판

세계 최대 검색 엔진업체 구글이 챗GPT 대항마로 새 검색 ...

www.ytn.co.kr

제가 내린 결론은 ...."아직도 성급한 것 아닌가?" 입니다

좀더 써 봐야 알겠지만...

bard 를 하루 써 본, 첫 인상이 그러합니다

-> 마지막 학습일을 질문하니, 프랑스 소설 "마지막 수업"을...OTL...

 

openai chat gpt 를 처음 접했으때, 느낌은 이러했습니다

"어(?) 꽤 잘 답변하네?"

"이러것도 답변가능할까?"

"신기하네"

 

그러나....

bard 는...

"이 답변은 뭐지?..." 입니다.

 

마치 옛날 구글로 "백조의 호수"를 한글 번역 했을때

"1000000000000000000..." 를 보여주는 기이함(?)을 다시 경험한 느낌입니다.

 

한국어 서비스가 된다하여 한국어 질문에 한정하여 테스트 한것이긴 하지만...

실망감을 감출수는 없습니다 

 

장점을 얘기하자면

파이썬 코딩 답변이 "Google Colab" 과 연계되는 것입니다

매우 편리한 기능으로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칭찬 합니다 ^^;;

(파이썬 코딩 질문으로 bard 활용하는 것은 다른 글에서 다뤄 보려고 합니다 )

 

바드에게 물었습니다

"bard와 chat gpt 차이점은?"

-> bard 는 최신정보에 입각한 정보를 제공할수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chat gpt 와 bard 답변 비교 뉴스 찾아 봤습니다

기자는 bard 에 더 우위를 두었네요 ^^;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51193491

 

"대한민국 대통령 누구?" 대답도 척척…한국어 고수의 정체

"대한민국 대통령 누구?" 대답도 척척…한국어 고수의 정체, '바드' 한국어 실력, 챗GPT보다 한수 위였다 구글 AI 챗봇 전면 공개 챗GPT '한국어 약점' 공략 어색함 없이 매끄럽게 번역 최신 정보 습

www.hankyung.com

 

 

ps. 어제 처음 bard를 접하고 실망감에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하루사이, 동일 질문에 적절한 답변(?)이 나오는 걸 확인 할수 있었습니다
첫인상이 실망이었지만 기대되는 서비스임은 분명합니다

점점 발전 하는 서비스이길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SR 관리를 위해 

redmine 사용 중, 현업의 요청!

-> "요청한 SR 의 상태를 공유해 주세요"

"chat, mail 로 매번 묻기 번거롭습니다"

 

부서별 SR 요청자가 한정된 경우

유저 생성하면 끝날일 이지만

SR 은 불특정 다수가 요청하고 있는 상황.

유관 부서 담당자와도 SR 상태 공유가 필요한 상황.

-> 모든 사용자를 유저로 등록한다? (아니오)

 

redmine 에서 간단하게 처리 가능하다

 

해당 프로젝트를 "공개" 설정 한 경우

 

-> 인증 설정에서 [인증필요함] : NO 설정

 

해당 일감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현업에게

해당 일감 URL 을 공유하면

위에 언급한 이슈들이 해결된다

반응형
반응형

ChatGPT  사용자 급격히 늘어나서 인지...

chat error 가 자주 발생합니다.

 

의도적인 거 같은 느낌을 지울수가 없습니다.

"이제 지불하고 써라" 라는 느낌입니다.

역시나 안보이던 메뉴가 보입니다

[new] 라는 아이콘은 달고 있습니다

"Upgrade to Plus"

기존과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월 20달러를 지불하고 "GhatGPT Plus" 를 사용할 만한 plan 인지는 사용자가 판단 할 듯합니다

 

유료버전 사용자가 되는 경우는 아래 경우 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1. 업무적으로 즉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무료버전의 경우, 요즘 error 화면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2. 빠른 응답속도
    위 1번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대기 시간 없이 응답을 받고자 하는 경우입니다
    현재 상태가 아주 느린것은 아니지만, 응답 까지 시간이 수초 정도 소요되고 있습니다     

3. 새로운 기능에 대한 우선 사용
    어떤 기능이 나올지 모르는데....이걸 유료 기능 항목에 넣은 것은 좀 의아합니다
    최초 신규 버전의 불안정성과 버그를 감내하는 걸 돈주고 하라는 건지....
    신규 기능을 누구보다 빨리 접하고자 하는 'early adopter' 가 원하는 기능 일수는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적은 금액이니(월 20달러),

빠르게 GPT AI 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충분히 값어치가 있다고 봅니다

'시간은 돈'이니까요.

 

주변 프로그램 개발자 중, 이미 이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

개발 또는 오류 해결에 말이죠.

제 경우에도 그 답이 꽤 만족스럽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감히 예측 하건데

통신 3사 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AI major 회사에 돈을 지불할 날이 도래 할 듯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핫한 GPT 를 어떻게 사용할수 있을까?

AI/ML study 를 하면 거치는 것 중, 감성 분석이 있습니다

 

이것을 GPT 로 대체 할수 있을까?에서 시작해 보았습니다

 

Google spreadsheet 에 GPT 함수를 사용할수 있다는 풍문을 듣고 바로 시작!

 

1. 메뉴>확장 프로그램> 부가기능 > 부가 기능설치하기

2. "GPT for Google" 을 설치

3. 메뉴>확장 프로그램> GPT for sheet and Docs > Set API key

 

4. api 발급

* 회원가입 /로그인 후, 아래 페이지 이동
https://platform.openai.com/account/api-keys

 

5. 빈 column 에 "=gpt" 를 입력

6. 감성 분석, 수식 입력
"prompt" 에 질문을 넣고 , column 지정

7. 결과 확인 후, 하단으로 드래그 하면 아래 text 들의 긍정/부정 값이 GPT 를 통해 return

[진행 중]

[완료 후]

반응형
반응형

IT에 종사하면서 자주 듣게 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 MAU 가 얼마나 되니?

- MCU 는?

서비스 규모를 판단하는 기본적인 항목 들입니다

 

DAU / MAU는 한명이 여러번 반복 방문해도 count  1 로 계산됩니다

주로 마케팅에 사용되는 수치이며, 

가입자당 평균 수익 등을 계산할때 활용됩니다

 

MCU 순간 동시 접속자로서, 동접이 높으면 MAU랑 DAU가 높다는 의미로도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MCU 를 기준으로  인프라 구성에 활용합니다

제 경험으로 2~3배 의 부하를 예상하여 구성합니다

물론, on-premise 의 경우이고
요즘에는 클라우드에서 auto-scaling 을 적용해서 부하에 대응 합니다

 

ACU는 평균 동시 접속 사용자수 입니다

인프라 성능 지표와 연계하여 보는 항목입니다

예)

 -인프라 변경이 없는데 ACU 가 증가했다면, 당연히 인프라 사용률 증가를 예상할수 있습니다

 - ACU 변화가 크지 않은데 인프라 사용률이 증가했다면, application 의 성능 이슈를 추적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Gmail 을 그냥 저냥...메일로 쓰다가 보니...

하나 둘 궁금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보관처리" 와 "숨기기".

기능을 몰라 사용하지 않았는데, 

알고 보니 쓸모있는 기능이었습니다

 

1. 보관처리

메일을 열면 상단 외쪽에 위치한 아이콘입니다

* 목적 : 이메일을 삭제하지 않고 받은편지함을 정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보관처리된 메일은 "전체메일함"에 있습니다

제 경우, 또 볼까 싶지만(?) 삭제하긴 싫은 메일을 "보관처리" 합니다

 

*특이사항 : 누군가 답장하면 메일이 받은편지함에 다시 표시됩니다

 

2. 숨기기

메일을 열고, 추가 메뉴를 열면, 가장 하단에 위치한 기능입니다

* 목적 : 이메일을 삭제하지 않고 받은편지함을 정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보관처리된 메일은 "전체메일함"에 있습니다

기능이 "보관처리" 와 동일하지만, "숨기기" 된 메일은 이후 받으편지함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다른 점 입니다

구글에서도 잘 사용하지 않을 거라 생각했는지.....메뉴 찾기도 힘들게 해 놨습니다.

 

*특이사항 : 답장해도 메일이 받은편지함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mail/answer/6576?hl=ko&co=GENIE.Platform%3DDesktop&oco=0 

 

Gmail 메일 보관처리 또는 숨기기 - 컴퓨터 - Gmail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반응형
반응형

웹 페이지 속도 개선을 위해

이미지 내용을 보다 보니 WebP 와 SVG 화일 형식이 혼재 되어 있습니다

WebP 와 SVG 의 차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 결론은

페이지 로딩 속도를 위해서는 WebP 추천,

이미지의 왜곡이 없어야 하는 페이지의 경우, SVG 를 추천합니다

 

상세 비교자료는 아래 표에 정리하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 관리 화면에 [콘텐츠] 항목 하위에 보면

"페이지관리" 메뉴가 있습니다

"글"과 "페이지" 차이를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글링하면 티스토리의 페이지 기능에 대해 설명한 글이 나오긴 하는데

공식 문서(?)가 잘 안보이네요

티스토리에서 설명하는 글을 찾는데 살짝 시간이 걸렸습니다. ㅎ

 

"페이지" 란?

글이나 공지와 달리 고정된 메뉴처럼 유지하고 싶은 콘텐츠를 담습니다.
블로그 설명, 블로거 소개, 회사 소개나 연락처와 같은 내용이 그것입니다.
그동안 사용해 오던 공지와 비슷하지만, 보다 효과적으로 작성하고 노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 아래 원문 링크 참고 바랍니다.

 

https://notice.tistory.com/2400

 

[업데이트] 페이지 기능 소개

안녕하세요.TISTORY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새롭게 추가된 페이지 기능에 대해 살펴 볼까요? 페이지는 글이나 공지와 달리 고정된 메뉴처럼 유지하고 싶은 콘텐츠를 담습니다.블로그 설명,

notice.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 관리 중, 궁금 사항 정리합니다

관리 페이지 에서,  

관리> 블로그 

메뉴에 보면 "아이콘" 과 "파비콘" 을 각각 등록하게 되어 있습니다

거의 동일해 보이는데 어떤 차이 일까 찾아 보았습니다

1. 아이콘
댓글에 표시되는 이미지 입니다
(아래 주황색 원 부분)

2. 파비콘

블로그에 방문했을때, 브라우저 상단 탭에 표시되는 이미지 입니다

또는 즐겨 찾기 설정시, 표시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