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식관리의 목적 ,

체계적인 관리가 있었습니다

     

어떤 자료를 어떤 카테고리에 넣을까?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카테고리가 과거의 방식이지만

개인의 지식 관리에는 충분한 분류 방법이  것으로 예상합니다

     

OneNote  지식 관리 툴로 선택하면서

태그 기능을 놓아 버린 것이 아쉽지만

검색 기능으로 상쇄 시키길 기대해 봅니다

     

카테고리와 태그의 차이점은
워드프레스의 기능 설명으로 대체 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gni&logNo=22077860749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카테고리 분류 방법에 대해 고민한 내용을 옮겨 봅니다

 혼자만의 분류체계를 원하는가?
아닙니다. 목적에 명시한  처럼
블로그를
 통해 지식 공유를 목적으로 합니다

보편적인 분류 체계란?
검토한 분류 체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국가지식정보자원 분류 체계
"국가지식정보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자료를 검토했습니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권 제3 2006)


분류
 기준이 명확하고 세분화 되어 있으나
도서관의
 문서 분류이지 제가 원하는 형태는 아니었습니다

 

2) 티스토리
티스토리의
 분류 체계 입니다

참고만 했습니다 


3) 
네이버

 블로그 활동이 네이버이다 보니

네이버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제가
 해당 하는 카테고리는 몇 개 없네요 

글을  , 어떤 분야인지를 고려하면서 글쓰기하는 버릇이 생겨야 갰숩나다

     

세부 카테고리는 티스토리의 카테고리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카테고리 : 네이버
()카테고리 : 티스토리 + @

)
스포츠 >> 농구

 

     

    

반응형

'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관리 방법(저장, backup / recovery)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  (0) 2023.01.05
지식 관리 실패 원인  (0) 2023.01.05
지식 관리 프로세스  (0) 2023.01.03
지식 관리의 목적  (0) 2023.01.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