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의 지식 정리를 OneNote 결정 하였으니

어디에 저장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것은 자연스럽게 backup / recovery 연관 것입니다

 

저장소는 클라우드와 오프라인 두가지를 같이 고려하였습니다

온라인으로 저장되는 것은

동일하게 오프라인에도 저장 되야 한다는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MS OneDrive 처럼 저장 용량이 변경되거나 (15G ->  5G)
http://www.cnet.co.kr/view/100144389

 

다음 클라우드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을 지켜 저로서는

클라우드도 마냥 좋다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농협도 해킹 당한 시대를 살고 있지 않습니까?...

(티스토리의 백업기능 제거도 있고요)

 

판단은

최대한 온라인을 활용하되

오프라인을 마지막 보루로 활용할 있게 구성하려고 합니다

 

계획은 이러합니다

 

<블로그 >
Onenote
연동되는 블로그 사이트를 우선 하였습니다

네이버로 시작합니다

콘텐츠가 쌓인다면 워드프레스까지 블로그 활동을 확장 하고자 합니다

네이버는 국내용

티토리는 국내용
워드프레스는
글로벌

이제 시작하면서...꿈은 큽니다 ^^;;

 

 

<클라우드>

10G 이상의 무료 서비스 3가지를 고려 하였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를 backup  메인으로 활용하려고 합니다

 

  • Google Drive
     

15GB의 무료 제공되며

연동된 구글 이메일 계정 관련 데이터는 해당 드라이브 스토리지 용량에 포합니다

구글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용량은 계산에 제외

 

구글 포토를 이용하는 경우 파일을 ‘원본 크기’로 저장하면 15GB 제한에 포함되지만,
‘고화질’ 모드는 무제한 업로드 가능
2021 년 6월 부터 정책이 변경되었습니다
무제한은 이제 없습니다 ㅜㅠ

https://support.google.com/photos/answer/10100180?hl=ko 

  • 네이버 클라우드
    무료
    30GB
     
  • 메가

무료 20GB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패스워드 분실할 경우 복구 방법이 없습니다.

 

  •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http://www.itworld.co.kr/news/104071#csidx6040e46ed3a96f09e6bc43597b9df90 

 

<오프라인>
OneNote
기본 저장 위치를 OneDrive 것입니다
원본이
클라우드에 있을 거라는 거죠

[정보] 메뉴에 보면 설정을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놓고
오프라인
화일은 onenote backup 기능으로 관리합니다

 

추가로 Backup 파일의 backup 클라우드 연동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탐색기를 PC 설치하면

http://tools.naver.com/service/ncloud/index.nhn


PC HDD 드라이처럼 보입니다.
것를 활용해서 onenote 파일을 backup 하려고 합니다

 

 

Backup 설정에 두가지를 고민하였습니다

(onenote 에서 자동 backup ) Onenote 파일(*.one) backup 하는 것과

폴더 전체를 backup 하는 것입니다.

차이점은 onenote 백업 경로에 휴지통 폴더가 같이 있기 때문에

폴더 전체를 동기화 하는 경우 불필요한 파일까지 연동됨을 감수해야 합니다

 

 

첫번째,  *.one 파일만 동기화 하는 방법입니다

Command 창에서 네이버 드라이브 인식되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Copy 명령까지 테스트 봅니다

Onenote backup 경로에 있는 파일을 네이버 클라우드 드라이버로 copy 하였습니다


copy 가능하니 이제 backup 자동화를 설정합니다

윈도우의 작업스케줄러를 이용해서 1 backup 파일을 특정 경로에 *.one 파일만 copy 설정 하였습니다

(Copy Script)
copy D:\Users\{사용자명}\AppData\Local\Microsoft\OneNote\16.0\백업\지식관리\*.one N:\OneNote

 

 

 

 

두번째, 네이버 클라우드의 PC폴더 동기화 기능입니다

OneNote backup 폴더를 동기화 폴더로 지정하면
폴더
전체가 동기화 됩니다

 

 

이렇게  오프라인 backup 클라우드 backup 구성되었습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OneNote   저장 : OneDrive
OneNote
  backup : Local PC
Backup
파일의 backup : 네이버 클라우드

 

 

(추가)

  • Google Drive  네이버와 비슷한 PC 연동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https://support.google.com/drive/answer/2374987?visit_id=1-636519319678509451-3919285770&p=backup_and_sync_signin&rd=1

 

 

  • Github, SVN, ClearCase 등….연동 있는게 많습니다
    backup 없어서 못할 경우는 없겠군요 ^^
반응형

'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분류 체계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  (0) 2023.01.05
지식 관리 실패 원인  (0) 2023.01.05
지식 관리 프로세스  (0) 2023.01.03
지식 관리의 목적  (0) 2023.01.03
반응형

1. 지식의 수집
<매체>
- WEB Surfing
-
녹음
- 메모
- 사진/동영상
-
- office 문서

지식
수집의 기술적 방법에 대해 고민해 보았습니다
온라인
: Evernote, OneNote, Google Keep, 솜노트 , Naver Memo
오프라인: treeDBnotes, 담비노트


가볍고
빠른 처리를 위해 오프라인용 프로그램을 고려했으나
모바일
사용이 많은 요즘 PC 아닌 곳에서도 메모를 하는 일이 잦아 지다 보니
온라인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했습니다
 

  • Evernote

Evernote 수많은 강력한 기능(?) 탑재되어 있습니다
web 스크랩 기능과 모바일 앱의 편의성은 매우 맘에 드는 부분입니다

장점 : 매체가 무엇이든 저장 가능
단점 : 용량의 제한

2023.01.05 기준

  • Google KEEP

Google Keep 메모의 기능에 충실하고
크롬을
주로 사용하는 필자에게 적합합니다

장점 : 
Google Drive
용량과 연동되지 않으며
저장
용량에 제한이 없습니다

http://www.techradar.com/news/internet/web/google-keep-vs-evernote-vs-apple-notes-1139656

 

단점 :
Google
투박함(?) ^^

각 개별 텍스트 메모는 약 10,000 자 (약 2,000 단어)로 제한

https://webapps.stackexchange.com/questions/79225/storage-limitations-on-google-keep

메모별 암호 설정 불가

 

  • OneNote
    기능에 만족하지만 무겁습니다
    PC 에서 지식 정리용으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 솜노트 , Naver Memo
    솜노트 네이버 메모 비교
    http://monthly.appstory.co.kr/apps8984
  • 기타 비교 자료
    evernote, naver memo, google feep, 솜노트, onenote, 플라바 비교
    http://bugy1004.tistory.com/76
  • (결론)
    편의성의 evernote
    무제한 용량의  google keep 선정하였습니다

    지금
    계획은 1주일 단위로 수집된 지식을 OneNote 정리하고
    수집
    내용은 삭제를 하고자 합니다
     

2. 지식의 정리

3. 지식의 저장

  • MS OneDrive

OneNote  연동됩니다

https://onedrive.live.com

무료 용량이 5G 이므로 용량 증가 유료 전환 또는
PC 로컬 저장을 병행하고자 합니다

마지막까지
에버노트와 어느 것을 선택할까 박빙이었습니다

에버노트에의  tag  기능이 필요했으나
블로그
활동을 위해 최종 OneNote 선택했습니다

 

저장, backup / recovery 대해서는 별도 페이지에서 다루겠습니다



 

 

4. 지식의 갱신
PC 또는 모바일에서 수정 가능해야 합니다
OneDrive 둘다 가능하며
backup 변경 추적이 용이합니다
설치없이
PC 웹에서도 가능합니다
https://www.onenote.com/hrd
 

5. 지식의 공유(블로그)

-티스토리에 글을 작성해서 공유하는 것을 첫번째로 합니다

-OneNote
보내기 기능에 블로그 연동 기능이 존재 합니다
네이버로
시작해서 점차 채널을 확대 하고자 합니다

OneNote 2016 에서 Naver Blog 연동

반응형

'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분류 체계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저장, backup / recovery)  (0) 2023.01.06
지식 관리 실패 원인  (0) 2023.01.05
지식 관리 프로세스  (0) 2023.01.03
지식 관리의 목적  (0) 2023.01.03
반응형

실패하지 않기 위해, 지식 관리가 실패하는 원인을 정리해 봅니다

대부분의 지식관리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료의 대부분이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조사는 기업 /개인 구분 없이 진행했습니다

 

지식 관리가 실패할 수 있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기업의 지식관리에서,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이유가 자주 언급됩니다.

  1. 조직의 지식 관리 문화가 없거나 약한 경우:
    지식 관리는 조직 내의 지식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 지식 관리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없다면 지식 관리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지식 관리 시스템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지식 관리 시스템은 조직 내의 지식을 수집, 저장,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이지만, 이것이 적절하지 않거나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면 지식 관리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3. 지식 자산의 적극적 관리 부재: 지식 자산은 조직에서 생산되나 수집된 지식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지식 자산이 적극적으로 관리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면 지식 관리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4. 지식 자산의 정보화가 부족한 경우: 
    1. 지식 자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어렵습니다.
    2. 유용성을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3. 이것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4.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어렵습니다.


[참고]
기업의 KMS 솔루션 문제점 (엠클라우독 aidoc (인공지능 지식관리 솔루션)  영상 캡쳐)

반응형

'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분류 체계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저장, backup / recovery)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  (0) 2023.01.05
지식 관리 프로세스  (0) 2023.01.03
지식 관리의 목적  (0) 2023.01.03
반응형

개인의 지식 관리에 한정합니다
지식의 수집 -> 정리 -> 저장 -> 공유(블로그)


지식 공유(블로그)의 목적은
(1) 글로 정리함으로 지식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기 위함입니다
지식에 대한 통찰력을 갖기 위한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2) 같은 고민을 하는 다수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입니다
성공/실수를 공유하는 것이 의미 있는 기록이라 생각합니다
 
(3) 소통함으로써 더 좋은 생각/지식이 풍부해질 거라는 기대감입니다
소통할 만한 지식이 쌓이길 기대해 봅니다

 

[참고]

(기업의) 지식 관리 프로세스의 일반적 단계.
  1. 지식 수집: 조직의 지식을 수집하기 위한 전략과 기술을 개발.
  2. 지식 정리: 수집한 지식을 구조화하고 정리하여 접근 편의 성 제공.
  3. 지식 공유: 조직 내에서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4. 지식 이용: 지식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교육.
  5. 지식 평가: 지식 관리 프로세스의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
지식 관리 프로세스는 이러한 단계를 거쳐
지속적으로 조직의 지식을 가치 있게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됨.
반응형

'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분류 체계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저장, backup / recovery)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  (0) 2023.01.05
지식 관리 실패 원인  (0) 2023.01.05
지식 관리의 목적  (0) 2023.01.03
반응형

개인의 지식 관리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이제 기록하지 않으면 망각의 숲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군요
기록하고 망각+소멸하고 다시 기록하고…

앞으로 바보짓을 반복하지 않기를 바라며… ^^
지식관리의 목적을 적어봅니다

1. 지식을 통한 통찰력을 갖자
근거 있는 판단과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체계적인 지식 관리
파일을 방치할 경우 유실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관성 있는 저장 방식을 유지해야 합니다
(image, text file, 각종 오피스 파일 등은 검색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
산재한 지식의 체계적 분류가 필요합니다

3. Anytime + anywhere
언제/어디서든 조회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단, 보안에 대해 고민할 것

4. Give back
지식의 공유 (블로그)

5. Backup / recovery
체계적으로 관리만 하다가 한순간에 없어질 수 없습니다

 

[ 참고]

지식관리란?

*기업의 지식관리 측면에서 정리된 글 참고.

출처)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815768&supid=kku010841691 

지식 관리 [知識管理]

21세기형 경영 혁신 전략의 일종으로, 
조직의 발전 전략과 직결되는 핵심 지식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공유하여 
모든 조직 구성원들이 이를 업무에 적절히 적용,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조직 내외의 정보 및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 경영하자는 전략.

출처) ?

지식 관리는 
기업의 종업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식을 수집, 정리, 공유 및 분석하는 과정.
내용에 기술 리소스, 자주 묻는 질문, 교육 문서 및 인력 기술이 포함됨. 

데이터 마이닝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 
지식 관리 계획에는 기업의 목표를 조사하고 기업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도구를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포함. 
지식 관리 시스템을 선택하는 문제는 전체 계획의 맥락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거나 구축하여 
직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장려함. 

지식 관리의 목표는
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지식을 저장하는 것이 지식 관리의 주요 목표.

지식 관리는 올바른 정보를 적시에 누군가 앞에 놓는 것을 목표로 함.
우선 특정 비즈니스 태스크 및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해 지식 관리 시스템에서 지식을 수집하고 정리.
그리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사람과 지식을 공유하고
프로세스와 테크놀로지를 개선하여 지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적인 학습을 위한 새로운 지식의 생성을 촉진함.
지식 관리는 모든 직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기업이 사일로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함.
이것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습득한 지식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개인들이 회사를 떠날 때 기업이 그 정보를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

지식의 종류 정의.
지식은 조직이나 개인이 교육과 경험을 통해 얻은 정보에 대한 이해.
이 정보는 데이터로부터 취득 가능.
원시적인 사실과 상황에 맞는 수치.

지식에는 명시적, 암묵적, 내재적 세 가지 유형.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차이는 명확하고 암묵적.

명시적 지식은 책, 파일, 폴더, 문서,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법 비디오에서 볼 수 있으며
지식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가장 쉽게 추출되고 처리.


암묵적 지식은 본질적으로 직관적.
경험과 연습을 바탕으로 하며,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수도 있음.
이런 종류의 지식 전달은 한 사람에게만 있기 때문에 실제 실행까지는 난이도가 높음.
명시적 지식에서처럼 이를 추출하는 쉬운 방법은 없으며,
지식 보유자에게 이를 기록하거나 동영상을 제작 할수 있어야 함.
암묵적인 지식의 예)
영업 활동을 시작할 적절한 시점을 특정하거나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것.


내재적 지식은
시스템 프로세스, 루틴, 매뉴얼, 구조 및 조직 문화.
공식적으로 또는 조직이 다른 두 가지 지식 유형을 사용하고 적용함에 따라 비공식적으로 포함.
내재된 지식은 명시적인 출처에서 찾을 수 있지만,
왜 특정한 방식으로 무언가를 수행하는 것이 비즈니스에 중요한지 항상 즉각적으로 명확하지는 않음.

지식 관리 프로세스 4가지 포인트.
첫번째로 지식 수집입니다.
데이터 입력, 광학 문자 인식 및 스캔,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정보 수집 및 기타 포함 정보 검색 등이 포함됨.

두번째 지식 스토리지 및 조직.
이 프로세스의 단계에는 지식 관리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카탈로그 작성 및 인덱싱, 이 컨텐츠 내에 링크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관련 정보를 요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포함.

세번째 지식 배포.
사용자는 FAQ, 트레이닝 비디오, 백서 및 매뉴얼 등의 정보에 액세스.

네번째 지식 활용.
일단 정보가 사용자에게 배포되면 그들은 그것을 실행에 옮길 필요가 있음.

지식 관리의 이점과 과제
지식 관리를 통해 비즈니스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직원 생산성을 향상할수 있음.
방법적으로 기존 지식 재작성 시간 단축.
이는 개인 및 집합적 지식이 기록되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한 곳에 저장되기 때문에 가능.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는 더 이상 긴 전화와 이메일 태그 게임을 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 사람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알 수 있기를 바라며 같은 것을 요구할 필요가 없음.

실수의 감소.
정보를 공유하면서 다양한 프로세스에서 꼬인 부분을 처리하여 같은 실수를 두 번 저지르지 않게 됨.

표준화된 프로세스.
프로세스와 절차에 대한 골든 레코드가 시스템에 저장되므로 모든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원의 온보드 작업 및 교육을 개선 가능.
정보를 보존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세스가 혼돈되는 것도 방지 가능.

콜라보레이션의 향상.
사용자들이 공통의 공간에서 지식을 공유하게 되었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더 편리하지만 지식 관리에는 몇 가지 과제가 존재함.
첫번째 동기부여.
직원들은 종종 그들만의 방식으로 설정되며,
관리자는 직원들이 공통의 작업 공간에서 습관을 바꾸고
지식을 공유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지함.
IT기술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데 대부분 최신 업데이트와 툴을 따라잡는 것이 어려움.

두번째 보안 문제.
비즈니스 시스템의 모든 정보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사용자가 올바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 권한과 보안 수준을 설정해야 함.

세번째 정보의 최신 상태 유지.
IT기술과 마찬가지로 정보 역시 빠른 속도로 변화함.
최신의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 

 

 

반응형

'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분류 체계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저장, backup / recovery)  (0) 2023.01.06
지식 관리 방법  (0) 2023.01.05
지식 관리 실패 원인  (0) 2023.01.05
지식 관리 프로세스  (0) 2023.01.03

+ Recent posts